top of page
download (2).jpeg

나는 오래전 캘리포니아의 한 사막에서 Trona 또는 Searles Valley 라고 불리우는 폐허가 된 유령 도시를 발견했다.
서울이라는 문명 도시 한가운데에서 나고 자란 나에게 너무도 비현실적인 풍경속에 자리한 이 다 쓰러져가는 유령 도시는
강력한 인상을 남겼으며 나의 호기심을 강하게 자극했고 그 이끌림 끝에 나는 이 유령 도시에 대한 개인적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 글은 찬란한 황무지 개척의 역사가 담겨 있는, LA에서 3시간정도 거리에 있는 작은 유령 도시 'Trona'에 관한 이야기이다.

때는 2018년 11월 무렵, 그 당시 나는 미국으로 유학을 와 있던 유학생이었다. 그날 나는 학교를 마치고 LA의 Wiltern Theater에서 밴드 Behemoth의 공연을 보고 집으로 돌아와 침대에 누워 무료함을 느끼고 있었다.그러던 와중 문득 친구에게 그 유명한 'Death Valley' 에 한번 가보는게 어떻냐고 꼬드겼고 마침내 우리는 동트기 전 (새벽 3~4시) 정도에 데스 벨리를 향해 출발했다.


정말로 가로등 하나 없고 사방에는 모래더미 뿐인, 끝나지 않을것만 같은 왕복 2차선 도로를 한참 달리던 와중 우리는 인터넷이 전혀 되지 않음을 깨달았다. 우리는 이곳 출신도 아니고, 가로등 하나 없는 깜깜한 사막을 구글맵에 의존해가다가 인터넷이 전혀 되지 않아 구글맵이 먹통이 되버리니 상당히 당황하게 되었다. 더군더나 인간의 흔적이라곤 전혀 찾아볼수 없었던 곳에서 기름까지 거의 떨어져 가니 우리는 어두운 사막 한가운데에서 차를 잠깐 세워서 담배를 한대 태우고 온 길을 되돌아 가기로 결심했다.

IMG_4164.HEIC

​그렇게 인터넷과 핸드폰 모두가 터지지 않는 곳에서 담배를 피우면서 친구와 이야기를 하다 보니 동이 트기 시작했고, 이내 태양은 내가 태어나서 한번도 보지 못했던 색감으로 세상을 물들이기 시작했다.

IMG_4169.HEIC
IMG_4170.HEIC
IMG_4171.HEIC

지구가 아닌듯한 색감과 풍경에 압도되어 전율이 돋았고, 이 즉시 나는 이 미지의 장소와 사랑에 빠졌다.
​정신을 가다듬고 친구와 차를 사막 한구석에 세워두고 모래 언덕을 올라 본격적으로 이 미지의 장소를 탐험하기 시작했다.

IMG_4191.HEIC
IMG_4185.HEIC
IMG_4166.HEIC
IMG_4175.HEIC
IMG_4184.HEIC
IMG_4188.HEIC
IMG_4194.HEIC

발걸음이 닿는 모든 곳이 태어나서 한번도 본적도, 들은 적도 없는 곳이었다. 발길이 닿는 모든 곳이 이상한 모양과 이상한 색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 순간, 그 곳은 내가 알고 공부했던 세상의 상식과 이치가 무의미함은 물론이요 전혀 통하지 않는 곳이었다.

​나와 친구는 모래 언덕의 너머로, 희미하게 보이는 인간의 흔적을 발견 했고, 어차피 한칸 남짓 남은 기름으로도 인터넷이 되는 곳까지 되돌아가기 힘들다는 판단 하에, 언덕 너머로 희미하게 보이던 인간의 흔적에서 주유소가 있기를 기대하며 그 곳으로 운전해 갔다.

"여기서 알짱거리다간 살해당할수도 있겠다"

Trona를 처음 발견한 나의 본능적인 느낌이었다. 처음으로, 까딱 잘못하다가는 죽을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강렬하게 들었다.
그 인간의 흔적에 도달한 우리는 이곳이 'Trona' 라고 불리우는 곳이라는걸 알아냈다.
핸드폰 신호도 인터넷도 없는 황무지 한가운데에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마을의 대부분의 건물은 족히 100년은 되 보이는 비주얼을 자랑했고 그마저도 거의 대부분은 반쯤 쓰러져 있거나 창문이나 지붕이 뜯겨져 나간 흉가의 상태였다.
더군더나 마을 한가운데에 위치한 광산, 혹은 공장으로부터는 여전히 연기가 뿜어져 나오기에 아직 운영중인 곳으로 추정해볼수 있었다. 많지는 않지만 사람들을 간간히 볼수 있었으며 그들의 대부분은 언제 구입했고 언제 세탁했는지 가늠이 안되는 옷을 아무렇게나 걸치고 있었고 얼굴은 사막의 태양과 황폐함이 그들에게 끼친 영향을 간접적으로나마 느낄수 있었다. 
​길거리에는 쓰레기와 오래된 (50년 이상) 자동차들이 아무렇게나 널려 있었고 이 마을은 인간에게 필요한 그 어떠한 인프라도 제공되지 않는듯 보였다. 이런 곳에서 실제로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을 마주하니 공포심이 생겼다.
더군더나 나는 그 마을에 있는 유일한 동양인이었다고 확신한다.

​이것이 'Trona' 의 첫인상이었다.

download (1).jpeg
현재 트로나의 모습.jpeg
35bde7cae088fbaa35b26008d3d87815.jpeg
t49.jpeg
3092218294_3401954ae0_b.jpeg
SBS-L-QUAKE2-TRONA-0707-15-WL1-1.webp

황폐해진 트로나의 현재 모습

이후로도 나는 수년간 몇번이고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수 십번은 그곳을 들락거렸다.
그곳은 내가 경험해보지 못했던 그야말로 '신세계' 였다. 너무나 비현실적인 모습에 작지 않은 규모이지만 폐허가 되어 버린
​이 'Trona'라는 마을과 사람들, 그리고 역사에 대해 더욱 깊숙히 알고 싶어졌다.

Screen Shot 2023-05-25 at 3.31.09 PM.png

우선 Trona 라는 마을은 2019년 대지진으로 유명해진 사막 도시 'Ridgecrest' 와 가까운 Searles Lake에 위치한다.
LA에서는 차로 대략 3시간 정도면 Trona에 닿을수 있다.
알다시피 미국의 이런 사막에는 각종 군사 기지와 연구, 실험 시설이나 비밀 기지들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그곳의 노동자들이 거주하고 생활하기 위해 만들어진 도시가 바로 'Ridgecrest' 이다. Trona는 이 Ridgecrest에서 40분 가량 떨어져 있다.
​그리고 주변에는 유명한 관광지인 Death Valley가 위치해 있고, LA에서 Death Valley를 간다면 거의 무조건 이 'Trona' 라는 마을을 거쳐서 데스 밸리로 가게 될 것이다.

Untitled 14.png
트로나 전경.jpeg

Trona는 3개의 구역으로 길게 나누어져 있다. 거창하진 않지만 윗마을, 시내, 아랫마을 정도의 개념으로 해석하면 될 것이다.
제일 아래에 위치한 Argus, 중간의 Trona, 제일 위쪽에 위치한 Pioneer Point, 이 3 구역이 통상적으로 'Trona' 라고 불리우는 마을을 구성하고 있다. 절대로 작은 규모의 마을이 아니다.


 

트로나의 전경

이 지역은 과거에 최대 200m 깊이의 수심을 가지고 있던 호수였다. 수십만년간 물이 찼다가 증발되었다가를 반복하며 다양한 미네랄이 호수 바닥에 침전되었고 그 결과 1870년대 무렵 John Searles의 'San Bernardino Borax Mining Company'를 필두로 말라버린 호수 바닥에서 붕사를 채굴하기 위해 사람들이 왕래하기 시작했다.


 

아무것도 없던.jpeg

1800년대 중반 아무것도 없던 Searles Valley (Trona) 의 모습
 

340771634_777670396963708_7982772344960284916_n.jpeg
노새행렬.jpeg

​전설적인 John Searles의 노새 운반 그룹의 사진
그들은 Long Beach 인근 San Pedro의 항구까지 채취한 붕사를 20여 마리의 노새로 편도 175마일 거리를 운반하였으며
마침내 1873년 인근 모하비 사막에 철도가 건설됨에 따라 본격적으로 마을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초기 채굴.jpeg
호수개척.jpeg
호수개척12.jpeg
개척1.jpeg

​전설적인 John Searles의 San Bernardino Borax Mining Company 의 모습과 호수에서 붕사를 채취하던 그들의 모습

초기 정착.jpeg
초기 정착지1.jpeg

이들이 머물던 초기 정착지의 모습. 노동자들을 위한 쉼터와 바 역할을 하던 첫 상업 시설 'Searles Cabin' 주변의 모습

풍차.jpeg
342470535_1336462526910655_8909643586897898023_n.jpeg

트로나의 사람들은 그곳에서 부는 강렬한 모래바람을 이용한 일종의 '풍차' 를 이용해 이동하기도 했다.

트로나 역.jpeg
초기 정착지 1.jpeg

​마침내 철도가 이 지역에 놓임과 동시에 본격적인 마을 개발에 착수하였다.
1913년에 공식적인 마을이 들어서기 시작했는데 붕사와 탄산소다 그리고 칼륨을 본격적으로 채취하기 위해 공장이 대대적으로 설립 되었고 공장의 임직원과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일종의 '회사 타운'의 성격을 가지고 마을이 만들어 지기 시작했다.
광산 회사는 임직원과 노동자들을 위한 레크리에이션 센터, 도서관, 학교 그리고 주택과 상점 등 인프라들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임직원과 노동자들은 현금 대신에 마을에서 사용할수 있는 '전표'의 형식으로 급여를 지급 받았고 그들이 그 전표로 마을에서 경제 활동을 하면서 마을은 꾸준히 성장했고 인근 사막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는 특이한 사막도시로서 번영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함에 따라 Trona 지역 광산이 화약 생산의 중요한 원료인 칼륨의 미국내 유일한 공급원이었기 때문에
Trona에는 더더욱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고 일자리가 생겨나면서 Trona에는 유래없던 호황이 시작되었다.


 

트로나 극장.jpeg
극��장오픈날.jpeg

트로나 극장의 모습

 

트로나 페스티벌.jpeg

지역 행사
 

과거 시가지.jpeg
오래전 시가�지.jpeg

​트로나 시가지의 모습. 사막 한가운데의
유동인구와 자동차가 이 지역과 미국의 호황 분위기를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아이스크림.jpeg
수영장.jpeg
수영장과 아리따운.jpeg
수영장2.jpeg

사막의 한가운데에 수영장이 생기고 아이스크림이 1930~40년대에 들어올 정도로 이 마을의 포텐셜은 대단했다.

트로나 아낙.jpeg
교회사람들.jpeg

현재도 운영중인 'Foursquare Gospel Church'의 1940~50년대 모습. 이 당시 한국은 김두한과 신마적이 날뛰고 극심한 좌우 대립으로 그야말로 헬게이트 그 자체인 시절이었다.

트로나 학생들의 모습.jpeg
동내 ��놀이터.jpeg

트로나의 학생들과 아이들. 지금은 트로나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어린 아이들의 모습이다.

트로나 지역신문.jpeg

지역 신문까지 발행될 정도로 이곳의 인구와 성장세는 굉장했다.

​하지만 지금은 죽어버린 유령 도시가 되어버린 트로나. 왜 이렇게 변한 것일까?

1974년, 일대의 광산과 공장이 Kerr-Mcgee에게 인수되었고 트로나는 새로운 분기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새로운 광산과 공장의 소유주는 더이상 이 '회사 타운'의 운영을 원하지 않았다. 그들은 트로나의 부지를 재정비하기 위해 주민들에게
이곳을 떠나라는 요구를 했고 당연히 이곳의 주민들은 그것을 거부했다.

파어13.jpeg
파업5.jpeg
파업2.jpeg

이런 진보적인 새로운 소유주의 결정은 당연히 사막의 작은 도시에 극도의 혼란과 마찰을 초례했다.
공장의 임직원과 노동자들은 파업을 감행하면서 이 작은 마을의 운명은 바람앞의 촛불처럼 흔들리기 시작했다.

마침내 1982년, Kerr-Mcgee Corp 가 직원의 1/3을 해고하면서 그 갈등에 종지부를 찍었다.
마을의 알파이자 오메가인 광산에서의 일자리를 잃은 해고된 직원들은 이 사막 한가운데에서 다른 일자리를 찾을수 없었기에
​마을을 떠나가기 시작했고 주택 가격은 폭락했으며 상점들은 문을 닫고 지역 사회가 무너지기 시작했다.

때마침 인근의 또다른 작은 사막 농업 도시인 Ridgecrest 근처에 각종 군사 시설과 실험 시설, 연구실등이 들어옴에 따라
Ridgecrest가 급격히 성장하기 시작했고 많은 트로나의 주민들이 Ridgecrest로 떠나갔다.

​그 결과 2023년 현재의 트로나 인구는 1500명 남짓으로 줄어들었고 찬란한 역사를 가지고 있던 트로나는 몰락했다.

현재 마을모습.jpeg
현재 시가지.jpeg
현재 시가지의 모습.jpeg

오늘날 트로나의 모습.

놀랍게도 광산과 공장은 아직 운영되고 있으며 여전히 40억톤의 광물 매장량을 자랑한다.
​이제 대부분의 광산 노동자들은 40분 거리의 Ridgecrest 로부터 통근을 하고 이 마을은 거의 버려지게 되었다.

이제 이곳에서 운영중인 상점은 주유소를 겸하는 식료품점 하나와 식당 2곳이 전부이다.

​하지만 여전히 이곳에 고등학교와 초등학교가 운영되고 있고 아직도 약간의 사람들이 정상적인 삶을 영유하고 있다.

Screen Shot 2023-05-25 at 6.52.46 PM.png

주유소와 겸업중인 마켓 'TIS General Store' 의 모습

Screen Shot 2023-05-25 at 6.54.56 PM.png
Screen Shot 2023-05-25 at 6.55.38 PM.png

마을의 전성기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운영중인 식당 'Trails Drive In'

트레일스 드라이브 인.jpeg

'Trails Drive In' 의 1960년대 모습

트로나고입구.jpeg

Trona 고등학교의 오늘날 모습. 아직 운영중인 학교이다.

토네이도즈.jpeg
토네이도.jpeg
트로나고 운동.jpeg

Trona 고등학교에는 그들이 자랑하는 풋볼팀 'Trona Tornados' 가 아직도 건재히 활동중이다.
​전미 유일 흙바닥에서 훈련하는 풋볼팀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지만 신규 학생 감소로 그조차 위태위태한 모양이다.

트로나 토네이도.jpeg

'Trona Tornados' 의 과거 전성기 모습. 1983년.

마을회관으로써 기능.jpeg

트로나 고등학교의 실내 체육관은 일종의 마을 커뮤니티 센터로서의 기능도 하는 중이다.

엘크롯지.jpeg

역시 마을 회관의 역할을 하는 'Elk's Lodge' 라는 술집겸 공연장

이 과거의 영광을 간직한 사막의 몰락한 도시는 오늘날 결코 보기 쉽지 않은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하지만 그마저도 2019년 Ridgecrest 대지진으로 개박살이 나서 더 많은 주민들이 도시를 이탈했고

남겨진 흉가들에 각종 범죄자와 무법자들이 숨어 들기 시작하면서 거주지로써 제대로 된 기능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이 마을을 몇차례 오가며 Biker gang 또한 목격한적이 있을정도로 치안이 불안한 모습을 보인다.

마을에서는 Verizon 이용자들만 간신히 통화와 인터넷이 가능하며 그 이외의 통신사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당연히
인터넷이고 전화고 아무것도 되지 않는다. 

따라서 한국인이 이 지역을 들쑤시고 다니면 각종 무법자와 레드넥들의 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한여름의 더위와 태양은 그야말로 살인적이다. 49도까지 올라가며 이 온도에서는 자동차에도 무리가 오고 아이폰은 열기때문에 
작동하지 않는다.

많은 위험한 곳을 들쑤시고 다녔던 나지만 나도 이곳에 갈때는 약간의 긴장을 한다.
이곳에서 사고를 당하면 아무런 도움을 기대할수가 없다. 아마 높은 확률로 발견조차 되지 못할 것이다.
때문에 이 지역을 여행하고 싶다면 그런 부분을 염두에 두고 와야 한다. 

​데스 밸리가 목적지라면 중간 기착지로 잠깐 둘러보는 정도로 충분할것 같다.

​나는 이 마을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과거와 현재가 공존한다. 마을을 둘러보면 100년전에 사용하던 물건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수 있다.

고물.jpeg
곰ㄹ2.jpeg

여담으로 이 지역의 사막에서 자동차로 드리프트 (원돌이) 를 하다가 차가 모래에 처박혀서 옴싹달싹 못하게 되었던 적이 있었다.
물 한병도 없이 몇시간동안 한여름의 땡볕에서 뒷바퀴쪽 모래를 퍼내다가 포기하고 차안에서 친구와 에어컨을 켜놓고 뻗어있는데
모래언덕 너머에서 한 할아버지가 영화처럼 오래된 픽업트럭을 타고 등장해 우리들을 구조해준 적이 있었다.

IMG_6304.HEIC

모래에 쳐박힌 나의 차.

우리를 구조해준 할아버지는 당당하게 구조비로 20$을 요구했고 우리는 기쁜 마음으로 지급했고 그 할아버지는 모래 언덕 너머로
​사라졌다. 

이곳에서 촬영한 우리의 뮤직 비디오.
​극한의 환경 때문에 만족스러운 비디오가 나오지는 않았다.
더구나 같은 백인임에도 불구하고 보컬인 Jack은 이상한 곳으로 길을 잘못 들었다가 동내 양아치들한테 린치를 당할뻔 했었다.
하지만 조만간 제대로 준비해서 재도전할 계획이다.

이곳의 토양에는 다량의 염류 (소금)과 함께 과거 광산을 개발하며 유출된 다량의 카드뮴과 비소가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덕분에 이곳에서는 그 어떤 종류의 작물도 자라지 못한다.

더불어 한여름의 이곳에서 받는 직사광선의 양은 이곳을 방문해보지 않은 사람들이 얼만큼을 예상하던
그 이상의 직사광선에 매일 노출된다. 피부암에 걸릴 확률이 굉장히 높다는 소리이다.

더구나 미국이 한창 냉전 중이던 때에 미국은 이런 황무지에다가 각종 핵실험과 각종 핵폭탄과 신무기들을 뻥뻥 터뜨렸다고 한다.
실제로 모래 언덕에 올라가면 종종 유튜브에서나 보던 미군의 전투기가 날아다니는것을 구경할수 있다.

트로나는 내가 미국에서 6년정도 거주하면서 본 가장 인상적인 장소이며 가장 익스트림한 장소이다.
​미국 개척기의 역사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신비한 동내이기도 하다.

미국에서의 삶이 좀 안정화 된다면 이곳에서 1년정도 거주해보고 싶은 생각이 있다.

5/25 2023 @loodybensh

bottom of page